언리얼 엔진/Art7 언리얼 5.5 부터 Nanite의 Mesh Painting 지원되는 이유 🖌️ Mesh Paint 툴의 확장언리얼 5.5 부터 Mesh Paint 툴이 확장되어 메시 구성 요소에 저장된 Virtual texture에 페인팅하는 새로운 텍스처 색상 페인팅 모드가 추가되었다. 기존의 Vertex 페인팅과 유사한 워크플로우를 지원하지만 Vertex 수 대신 텍스처 해상도에 따라 확장되므로 Nanite 메시에서 더 효율적으로 작동한다. 또한 Vertex와 Texture 색상 페인팅 간 복사 지원이 추가되어 페인팅하는 동안 Texture 색상을 Vertex 색상으로 자동 전파하는 옵션이 추가되었다. 🖌️ Mesh Painting이란?Mesh Painting은 메시의 각 Vertex(꼭지점)에 컬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수정하는 방식이다. Vertex 컬러는 메시의 고정된 Verte.. 2025. 1. 14. Variant Manager와 Widget Blueprint 사용하여 언리얼 Configurator 제작하기 언리얼 엔진으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제품의 속성, 옵션 또는 디자인을 변경하고 시각적으로 즉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Configurator를 제작할 수 있다. Configurator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제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 언리얼 엔진으로 제작된 Configurator는 사용자가 옵션을 선택하거나 매개변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버튼, 드롭다운, 슬라이더 등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PC, 모바일, 웹, AR/VR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언리얼 엔진의 강력한 렌더링 기능으로 실시간의 사실적 조명, 텍스처, 그림자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언리얼 엔진 Configurator 컨텐츠를.. 2025. 1. 10. SceneCaptureCube를 사용하여 언리얼에서 HDRI 생성하기 Cubemap 텍스처를 사용한 Skylight는 사실적인 환경 조명을 구현하는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다. 라이팅 뿐만 아니라 유리나 거울같은 반사 재질에 대한 표현을 최적화시키는데에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언리얼에서 SceneCaptureCube를 사용해 Cubemap을 생성하고 이를 Skylight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다룰 것이다. 📸 SceneCaptureCube 설정하기환경 소스로 캡처할 레벨을 준비한다. Scene Capture Cube 액터를 추가하고 Texture target에서 Cube Render Target을 생성한다. 생성한 Cube Render Target을 클릭하여 디테일 패널을 연다. 디테일 패널을 열면 우측에 있는 Size X를 조정하여 캡처 해상.. 2024. 12. 19. Ray Tracing 방식의 새로운 직접 조명 패스 MegaLights 💡MegaLights언리얼 5.5의 실험적인 기능으로 공개된 MegaLights는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직접 조명 패스이다.조명과 그림자를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Ray Tracing 방식을 활용한다. 쉽게 말하면 MegaLights는 중요한 조명을 똑똑하게 골라내 계산 시간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화면을 그리는 기술이다. 주요 특징픽셀 당 고정된 수의 광선을 추적하여 중요한 조명만 계산한다.기존의 여러 복잡한 그림자 및 조명 기술을 단일 패스로 대체한다.성능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복잡한 조명이 많으면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모든 조명 데이터는 Denoiser를 거쳐 노이즈를 제거하여 깨끗한 최종 화면을 만든다.작동 방식간단한 화면 공간 광선을 추적하다가 디테일이 부족하면 Ray Tracing으로 보완한.. 2024. 11. 29. 언리얼 5.5 모션 디자인 Cloner Effector Parameters / Collision 언리얼 5.5가 출시되면서 모션 디자인의 기능도 더욱 추가되었다.아래 Roadmap에 있는 기능들 중, 가장 궁금했던 Proximity effects와 Collision을 사용해본다. 🐿️ Cloners & Effectors Proximity EffectsCloner Effector Parameters 라는 function을 통해 Cloner와 머티리얼 시스템을 통합할 수 있다. 이걸로 무엇을 할 수 있는 지 바로 Grid 타입의 Cloner를 생성하여 알아보자. 도토리 입자의 머티리얼이다.EffoctorTotalWeight와 연결되어 기본 도토리 색상에서 Emissive 값이 들어 간 머티리얼과 반응할 것이다. Effector를 추가하고 디폴트 Effector 값인 상태에서 Effector의 위치.. 2024. 11. 29. 언리얼 5.4 모션 디자인 모드로 Particle dissolve effect 만들기 🎲 Particle dissolve effectMotion Design 모드의 Cloner와 Effector를 사용하여 주사위가 작은 주사위 모양의 Particle로 사라지는 효과를 만들어보았다.이전 포스팅의 응용 버전이다. https://z03y.tistory.com/24 언리얼 5.4 모션 디자인 모드 (Cloner & Effector)🍎 Cloner와 Effector 사용하여 패턴 만들기언리얼 Motion Design 모드의 Cloner와 Effector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은 패턴 영상을 제작해본다. 🍎 Unreal Motion Design ?언리얼 5.4에서 새로 추가된 Motion Designz03y.tistory.com 🎲 작업 과정Cloner는 주사위 Actor를 샘플로 Lay.. 2024. 11. 25. 이전 1 2 다음 반응형